java.sql.SQLException: ORA-00911: 문자가 부적합합니다

이런 오류가 날땐

해당 SQL 문 마지막에 " ; "를 확인 해 보시길..

 

SELECT MAX(ISSUE_CD) FROM JN_ISSUE;

이거 보면서 정상적인 코드인데 왜이러나 그랬는데.. ㅡㅡ;

 

자바 소스코드 안에 구현된 SQL 쿼리문

마지막에 ; 때문이란다..

 

헐..

 

지우니 되네..


======================================================================
유닉스 명령어 정리
======================================================================

---------------------------
1.DOS와 비슷한 명령어
---------------------------

----------------------------------------------------------------------

(1). cat

기능 :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 DOS의 'type' 명령과 유사.
사용법 : cat [options] <file1> <file2> … <fileN>

옵션
-n : 행번호를 붙여서 출력.

예제 :
# cat /etc/fstab
: /etc/fstab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
사용팁 : 리눅스에서 두개이상의 옵션을 붙힐때는 앞의
'-'는 한번만 사용하고 영문자만 붙혀서 사용.

----------------------------------------------------------------------

(2). cd

기능 : 디렉토리 변경.
그냥 'cd'만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자기 자신의 홈디렉토리로 이동.
사용법 : cd <디렉토리>

예제
# cd ~dalma
: dalma 라는 유저의 홈디렉토리로 이동

# cd
: 자기자신의 홈디렉토리로 이동

# cd ..
: 현재 디렉토리에서 부모디렉토리로 이동

# cd /usr/bin
: /usr/bin 디렉토리로 이동

주의점 : cd 명령 후 반드시 한칸 띄우도록 하자.

----------------------------------------------------------------------

(3). cp

기능 : 파일 복사
사용법 : cp [options] <file1> <file2> … <fileN> <destination>

옵션
-b : 덮어쓰거나 지울 때 백업본의 파일을 만든다.
-d : symbolic link 파일을 그대로 복사한다.
-f : 같은 파일의 이름을 가지는 파일이 있는 경우 이 파일을 지운 후 복사한다.
-i : 같은 파일 이름을 가지는 파일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확인 후 복사한다.
-R : 서브디렉토리를 포함하여 복사한다.

예제
# cp .bash_profile temp.bash_profile
: .bash_profile 파일을 temp.bash_profile로 복사

# cp -R ../home/tmp/* .
: 현재 디렉토리의 부모 디렉토리에 있는 '/home/tmp' 디렉토리 밑의 서브디렉토리를
포함한 모든 디렉토리를 현재의 디렉토리로 복사.

주의점 : DOS와는 달리 현재 디렉토리로 복사할 때 <DESTINATION>을 생략해서는 안된다.
현재 디렉토리를 뜻하는 '.'을 두번째 예제와 같이 꼭 붙혀주도록 하자.

----------------------------------------------------------------------

(4). date

기능 :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을 표시하고 이를 수정
사용법 : date

----------------------------------------------------------------------

(5). ls

기능 : 파일과 디렉토리를 출력
사용법 : ls [option] <file1> <file2> … <fileN>

옵션
-a : 디렉토리내의 숨김 파일까지 모두 표시
-l : 파일의 사용허가, 소유자, 그룹, 파일의 크기, 날짜 등을 출력
-F : 파일의 형태와 함께 출력되는데 출력되는 파일의 형태는 '*', '@', '|', '=' 등이며,
이것은 각각 실행 파일, 심볼릭 링크, FIFO 소켓을 나타낸다.
-m : 쉼표를 구분하여 파일을 가로로 출력한다.
-R : 서브디렉토리의 내용을 포함하여 파일을 출력한다.

예제 :
# ls -alF /home/dalma
: /home/dalma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파일의
사용허가, 소유자, 그룹, 파일의 크기, 날짜등을 포함하여
파일의 형태와 함께 출력

사용팁 : 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에서는 파일의 처음이 '.'로 시작하면
숨겨진 파일로 인식.
즉, '.bash_profile' 같은 파일은 '-a' 옵션을 붙히지 않으면 'ls'명령으로 확인을 할 수가 없다.

----------------------------------------------------------------------

(5). man

기능 : 도움말을 출력
사용법 : man [option] <COMMAND>

예제 : 'man ls' (ls 명령어의 도움말을 출력한다.)

----------------------------------------------------------------------

(6). mkdir

기능 :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드는 데 사용한다. DOS의 'md' 명령과 유사하다.
사용법 : mkdir [option] <directory1> <directory2> … <directoryN>
옵션
-p : 지정된 모든 서브디렉토리까지 함께 생성한다.
-m mode : mode에 해당하는 사용 허가로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Mode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설명할 'chmod' 명령에서 함께 설명한다.
예제 : 'mkdir /home/dalma/tmp' (/home/dalma 디렉토리 밑에 tmp 디렉토리를 만든다.)

----------------------------------------------------------------------

(7). more

기능 : 주어진 파일의 내용을 한 화면씩 출력한다. DOS의 'more' 명령과 유사하다.
사용법 : more <file1> <file2> … <fileN>
옵션 : 리눅스에서의 more 명령은 DOS에서와는 다르게 실행중 화면이 정지해 있을 때 명령어가 제공되는데 이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의 내용을 편리하게 볼 수 있다.
h : 도움말
[space], z : 다음 페이지를 출력
[Return] : 한 라인씩 스크롤시킴
d, <Ctrl+D> : 반 페이지씩 스크롤시킴
q, Q : 종료
f : 다음 페이지를 출력
b, : 앞 페이지를 다시 출력
/<검색어> : <검색어>에 해당되는 단어를 검색
= : 현재라인을 출력
:!<COMMAND> : <COMMAND>에 의해 주어진 명령어를 실행
<Ctrl+L> : 화면을 다시 리프레쉬 시킴
:f : 현재 파일 이름과 라인을 출력
사용팁 : 유닉스와 파이프 명령 '|'을 이용해서 다른 명령과 함께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t /home/dalma/readme | more' 를 입력하면 /home/dalma/readme 파일을 화면에 출력하는데 한화면씩 끊어서 출력을 하고, 'ls /home/dalma |more' 명령을 입력하면 /home/dalma 디렉토리 안의 내용을 한화면씩 출력한다.

----------------------------------------------------------------------

(8). mv

기능 : 파일을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로 이동시키거나 파일의 이름을 바꾼다. DOS에서는 'ren' 명령이나 'move' 명령과 유사하다.
사용법 : mv [option] <file1> <file2> … <fileN> <destination>
옵션
-b : 파일을 지우기 전에 백업본을 만든다.
-f : 옮겨질 디렉토리에 같은 파일이 있으면 덮어쓴다.
-i : 옮겨질 디렉토리에 같은 파일이 있는지 확인한다.
-u : 옮겨질 디렉토리에 구버전의 파일이 있는 경우에만 옮긴다.
예제
'mv /home/dalma /home/bar' (/home/dalma 디렉토리를 /home/bar 디록토리로 이름을 바꾼다)
'mv /home/dalma/readme /home/foo/README' (/home/dalma/readme 파일을 /home/foo/README 파일로 이동한다.)
사용팁 : 리눅스에서는 파일명에 대소문자를 철저히 구분한다. 즉 'readme'파일과 'README' 파일은 엄현히 다른 파일이다.

----------------------------------------------------------------------

(9). pwd

기능 :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절대경로명을 보여준다. DOS의 'cd' 명령어와 유사하다.
사용법 : pwd
주의점 : 도스에서 'cd' 명령을 입력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절대경로를 보여주지만 리눅스에서 'cd' 명령을 입력하면 자신의 홈디렉토리로 이동해 버린다. 절대경로를 알기 위해서는 'pwd' 명령을 써야 한다.

----------------------------------------------------------------------

(10). rm

기능 : 파일을 지우는 명령으로 DOS의 'del', 'deltree' 명령과 유사하다.
사용법 : rm [option] <file1> <file2> … <fileN>
옵션
-f : 삭제중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는다.
-i : 삭제하기 전에 확인을 한다.
-r : 서브디렉토리를 포함하여 지운다.
-v : 지워지는 파일 이름을 출력한다.
예제
'rm -rf /home/dalma/tmp' (/home/dalma/tmp 디렉토리를 서브디렉토리를 포함해서 모두 지운다.)
'rm .history' (.history 파일을 지운다.)
주의점 : 슈퍼유저 계정인 'root'로 이 명령을 쓸때는 아주 신중을 가해야 한다. 특히 '-r' 옵션을 쓰면 실수로 리눅스 전체를 날릴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i' 옵션과 함께 사용하도록 한다. 'alias rm rm -i' 명령을 내리면 rm 명령을 쓸 때 마다 -i 옵션이 자동으로 추가된다.

----------------------------------------------------------------------

(11). rmdir

기능 : 빈 디렉토리를 지우는 명령으로 DOS의 'rm' 명령과 유사하다. 그러나 'rm -r' 명령으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많이 쓰이지는 않는 명령이다.
사용법 : rmdir [option] <directory1> <directory2> … <directoryN>
옵션
-p : 지우고자 하는 디렉토리의 부모디렉토리까지 지운다.
예제 : 'rmdir -p /home/dalma' (/home 디렉토리에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라면 /home 디렉토리까지 지운다.)

----------------------------------------------------------------------

--------------------
2.User에 관한 명령어
--------------------

----------------------------------------------------------------------

(1). chgrp

기능 : 파일의 그룹소유권을 바꾼다.
사용법 : chgrp [option] <newgroup> <files>
옵션
-R : 한 디렉토리내의 모든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의 그룹소유권을 바꾼다.
예제
'chgrp admin /home/dalma/readme' (/home/dalma/readme 파일의 그룹소유권을 admin으로 바꾼다.)
'chgrp -R admin /home/dalma (/home/dalma 디렉토리아래의 모든 파일의 그룹 소유권을 admin으로 바꾼다.)


----------------------------------------------------------------------

(2). chmod

기능 : 파일에 대한 개인, 그룹, 타인에 대한 접근 권한을 변경.
사용법 : chmod [options] <mode> <files>

옵션
r : 읽기 권한 설정
w : 쓰기 권한 설정
x : 실행 권한 설정 (디렉토리의 경우는 접근 권한)

u : 파일의 소유자(user)
g : 그룹(group)
o : 기타(other)

a : 전체사용자(all)
+ : 권한 추가
- : 권한 삭제
= : 권한 지정

예제
# chmod a+r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모든 사용자가 읽을 수 있도록 설정)
# chmod +r * (위예제와 상동)
# chmod o-r, o-w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기타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권한을 없앰)
# chmod og-x stuff (stuff 파일에서 그룹과 기타사용자에게 실행권한을 없앰)
#chmod u+rwx stuff (stuff 파일에서 파일 소유자가 읽기, 쓰기, 실행권한을 추가)
#chmod a=r *.txt (.txt로 끝나는 모든 파일을 전체 사용자가 읽을 수만 있도록 지정)

사용팁 : 숫자를 이용하여 특정권한을 지정

'4'는 읽기 권한
'2'는 쓰기 권한
'1'은 실행 권한

즉, 읽기, 쓰기권한 지정 => 4+2 = 6 로 표시
예를 들면
stuff라는 파일에 소유자에게는 모든권한을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는 읽기, 실행권한을 주려면
# chmod 755 stuff

----------------------------------------------------------------------

(3). chown

기능 : 파일의 소유권을 바꾼다.
사용법 : chown [option] <newuser> <file>
옵션 :
-R : 한 디렉토리내의 모든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의 그룹소유권을 바꾼다.
예제 :
'chown igi /home/dalma/readme' (/home/dalma/readme 파일의 소유권을 igi으로 바꾼다.)
'chown -R igi /home/dalma (/home/dalma 디렉토리아래의 모든 파일의 소유권을 igi으로 바꾼다.)
사용팁 : 리눅스에서는 chown 명령을 통해서 파일의 소유권과 그룹의 소유권을 한번에 바꿀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chown의 <NEWUSER>란에 'igi.admin'이라고 입력하면 파일의 소유권은 'igi' 파일의 그룹소유권은 'admin'으로 바뀌어진다.

----------------------------------------------------------------------

(4). su

기능 :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재로그인없이 다른 사람 ID로 접속한다.
사용법 : su [option] [user ID]
옵션
- : 이 옵션이 없으면 자신의 환경변수의 값을 가지고 다른 사람 ID의 권한만 갖지만 이 옵션을 붙히면 그 사용자의 환경변수의 내용까지 완벽하게 복사를 한다.
예제
'su' (사용자 ID없이 명령을 내리면 자동으로 root로 접속을 시도한다.)
'su - dalma' (dalma ID로 접속을 하는데 dalma의 환경변수의 내용까지 맞춘다.)
사용팁 : 리눅스에서는 외부에서 접속을 할 때 root로의 접속을 금지하고 있다. 이유는 보안상의 문제인데 가급적(가능한) root에서의 작업은 피하고 root의 권한이 필요하면 일반 사용자 ID로 작업을 하다가 su 명령을 이용하여 root로 접속하는 습관을 들이는게 좋다.

----------------------------------------------------------------------

(5). who

기능 : 시스템에 어떤 사람이 로그인하고 있는가를 보여준다.
사용법 : who
write
기능 : 특정사용자와 대화를 시작한다.
사용법 : write [ttyname]
예제
'write dalma' (dalma에게 표준입력을 이용하여 대화하기 시작한다.)
'write dalma /dev/tty21' (/dev/tty21에 있는 dalma와 대화를 시작한다.)
사용팁 : 마지막의 [ttyname]은 한사용자가 동시에 두번이상 접속을 하였을경우 대화할 터미널을 결정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어떤 사용자와 대화를 마쳤을 경우 [CTRL+D]를 눌러주면 대화를 종료한다.

----------------------------------------------------------------------

(6). find

기능 : 디스크에서 특정 파일을 찾아낸다.
사용법 : find <경로명> [expression]
옵션
-name filename : 찾을 filename을 입력한다.
-perm octperm : 특정 권한을 가진 파일을 검색한다. 이때 권한은 숫자형태로 입력한다.
-type t : 특정 종류의 파일을 (디렉토리, 일반파일 등등) 검색한다.
-size n : 크기가 n인 파일을 검색한다.
-mtime n : n일동안 변경된 파일을 검색한다.
-print : 파일 이름을 출력한다.
-maxdepth levels : 검색 시 서브디렉토리를 levels만큼만 진입을 해서 검색한다..
-mindepth levels : maxdepth와 반대의 명령어로 검색 시 서브디렉토리의 깊이가 level 이상부터 검사를 한다.
예제
'find ~ -name '*.doc' -print (접속한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중에서 .doc로 끝나는 모든 파일을 화면에 보여준다.)
'find ~ -type d -print' (접속한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중 디렉토리만 출력한다.)

----------------------------------------------------------------------

(7). ln

기능 : 특정파일의 링크파일을 만든다.
사용법 : ln [option] <file1> <file2>, ln [option] <file1> <file2> … <fileN> <directory>
file1의 링크를 file2에 만든다. file2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 디렉토리에 링크를 만든다.
옵션
-s : 심볼릭 링크를 만든다. 이 옵션을 넣고 링크를 만들면 파일의 형태가 'l'로 표기가 된다.
예제
'ln /usr/base /usr/lock' (/usr/base에 /usr/lock라는 링크를 만든다.)
'ln com1 com2 com3 /bin' (/bin에 com1, com2, com3의 링크를 만든다.)

----------------------------------------------------------------------

(8). grep

기능 : 주어진 패턴을 포함하는 파일의 라인을 출력시킨다.
사용법 : grep [option] <pattern> <file1> <file2> … <fileN>
옵션
-C : 패턴이 일치하는 문장의 아래 위 두 라인까지 포함하여 출력한다.
-c : 패턴이 일치하는 라인의 개수를 출력한다.
-i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찾는다.
-v :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내용을 출력한다.
-w : 패턴과 한단어로 일치해야 출력한다.
-x : 패턴과 전체 라인이 일치해야 출력한다.
예제
'grep linux /home/dalma/readme' (readme 파일 중에서 linux라는 패턴을 포함하는 모든 라인을 출력한다.)
'grep -c /bin/bash /etc/passwd (/etc/passwd 파일에서 /bin/bash의 개수 -로그인셀이 본셀인 사용자의 수를 출력한다.)
'grep -v '^[0-9]' readme' (readme 파일에서 숫자로 시작하지 않는 모든 라인을 보여준다.
사용팁 : 마지막 예제에서 '^[0-9]'의 표현은 좀 생소한 표현일것이다. 이것은 정규식이라고 해서 어떤 문자패턴을 표현하는 하나의 표현식이다. 간단히 설명을 하면 '[0-9]'는 0에서 9까지를 의미하고 '^'는 반대의 의미를 나타낸다. 즉 '^[0-9]'는 0-9로 시작하지 않는 표현이라는 뜻을 가지게 된다.

----------------------------------------------------------------------

(9). wc

기능 : 그렇게 많이 쓰이는 명령은 아니지만, 리눅스 프로그래머가 자신이 짠 소스의 총라인이 얼마인지 아님 특정 단어의 개수를 조사할 때 쓰이는 명령으로 특정 단어나 문자 또는 행의 수를 세는 명령이다.
사용법 : wc [option] <file1> <file2> … <fileN>
옵션
-c : 문자의 수만 센다.
-l : 행의 수만을 센다.
-w : 단어의 수만을 센다.
사용예
'wc /home/dalma/readme' (readme 파일의 행, 단어, 문자의 수를 출력한다.)
'who | wc -l' (현재 접속한 사람의 수를 표시한다.)
사용팁 : 리눅스는 혼자서 쓰는 운영체제가 아니라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을 하는 운영체제이다. who는 리눅스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의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이고 '|'는 파이프 기호라고 해서 여러 개의 명령어를 조합할 때 쓰이는 기호이다. 즉, 파이프 앞의 출력의 내용을 파이프 뒤의 명령의 입력으로 넣어주는 기능을 한다. 위의 예제에서 'who | wc -l' 명령은 'who' 명령의 결과를 'wc -l'의 입력으로 넣어준다. 그래서 현재 접속한 사용자의 개수를 알수 있는것이다.

----------------------------------------------------------------------

----------------
3.시스템 명령어
----------------

----------------------------------------------------------------------

(1). df (disk free)

기능 : 디스크의 남은 공간을 보여준다.
사용법 : df [option] [FileSystem | File]

옵션
-k : kilobyte 단위로 보여준다.
-m : megabyte 단위로 보여준다.

예제
# df -k
(kilobyte단위로 남은 공간을 보여준다. -기본값)
# df .
(현재 디렉토리가 포함되어 있는 파티션의 남은공간을 보여준다.)

----------------------------------------------------------------------

(2). du

기능 : 특정 디렉토리에서 하부디렉토리까지 포함한 디스크의 사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이다.
사용법 : du [option] [files]
옵션
-a :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하나하나의 크기를 출력한다.
-s : 총 사용량만 표시해 준다.
-k : 사용량을 kilobyte 단위로 출력해준다.
-h : 용량을 보기 좋게 표시해준다.
예제
'du -a' (현재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파일단위로 모두 출력한다.)
'du -s *' (현재 디렉토리의 첫번째 단계까지만 디스크의 사용량을 출력한다.)

----------------------------------------------------------------------

(3). env

기능 : 현재 시스템 사용자들의 환경 변수를 보여준다.
사용법 : env

----------------------------------------------------------------------

(4). free

기능 : 가상메모리를 포함한 메모리의 사용현황을 보여준다.
사용법 : free

----------------------------------------------------------------------

(5). id

기능 : 자신의 ID번호와 자신이 속한 그룹의 ID를 보여준다.
사용법 : id

----------------------------------------------------------------------

(6). kill

기능 : 특정 프로세서에게 특정 시그널을 보낸다.
사용법 : kill [-signal_number] [process id]
예제 u 'kill -HUP 549' (549번 프로세서에 HUP신호를 보낸다.)

----------------------------------------------------------------------

(7). ps

기능 : 사용자나 시스템 프로세서의 상태에 관한 정보 출력
사용법 : ps [option]

옵션
-a : 전체 사용자의 모든 프로세서를 출력
-l : 결과를 상세하게 출력
-u : 사용자 이름과 프로세서 시작 시간을 출력
-x : 제어터미널을 갖고 있지 않은 프로세서를 출력

예제
# ps -aux
: 전체 사용자의 제어터미널을 갖고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사용자 이름과 프로세서 시작시간을 포함하여 출력.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형태
 

출처 : Tong - taesantaesan님의 IT 운영체제통


 

-vmargs
-Xverify:none
-XX:+UseParallelGC
-XX:PermSize=64M
-XX:MaxPermSize=128M
-XX:MaxNewSize=64M
-XX:NewSize=64M
-Xms512m
-Xmx512m

 

위에껀 이클립스 실행 옵션입니다.
이제부터 간단히 위의 옵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1. -Xverify:none
옵션
remote - 원격 클래스 로드의 엄격한 클래스 확인 가능

all - 모든 클래스 로드의 엄격한 클래스 확인 가능
none - 엄격한 클래스 확인 불가능

 

설명 : 이 스위치는 Java 바이트 코드 확인 기능을 꺼서 클래스 로드 속도를 높이고

시작 중에 확인만을 위해 클래스를 로드해야 할 필요도 없애 줍니다.

시작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이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추측 : none은 대충모드?-_-

 

 

2. -XX:+UseParallelGC
JDK 1.4에서부터 새로 적용되는 GC방법은
Parallel GC와 Concurrent GC 두가지 방법이 있다.
Parallel GC는 Minor GC를 좀더 빨리하게 하는 방법이고 (Throughput 위주)
Concurrent GC는 Full GC시에 시스템의 멈춤(Pause)현상을 최소화하는 GC방법이다.

 

추측 : 위 설명으로 보아 좀더 빠른 gc방법을 사용한다라고 설정하는듯.

 


3. -XX:PermSize=64M
   -XX:MaxPermSize=128M

PermSize 설명 :
Perm Size는 Java Application 자체(Java class etc..)가 로딩되는 영역이다.

 

추측 : application class라는게  로딩될때 메모리부족현상이 있을것 같으니 임의로 설정

 

 

4. -XX:MaxNewSize=64M
   -XX:NewSize=64M

NewSize 설명 : JVM은 NEW/YOUNG영역, Old역역, Perm영역 3가지가 존재
NEW/YOUNG역역은 새로운 객체가 생성되자마자 저장되고
생긴지 얼마 안되는 객체가 저장되는 곳이다. 시간이 지나면 Old역역으로 이동.

 

추측 : 새로운 객체가 생성되는 NEW/YOUNG영역의 크기를 설정

 

 

5. -Xms512m
   -Xmx512m

설명 : 전체 Heap size는 ?ms와 ?mx로 Heap 사이즈의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s512m ?mx 1024m로 설정하면
       JVM은 전체 Heap size를 application의 상황에 따라서
       512m~1024m byte 사이에서 사용하게 된다.

 

추측 : 두값의 사이즈를 같게 하는것이 좋다고 하네요.

 

 


위 옵션에서 제일 중요한것은 -Xverify:none인것 같군요


-Xverify:none에서 클래스 검사 방식에서 실행속도에
영향이 많이 가는듯.
나머지 옵션은 자신의 RAM용량에 맞춰서 적당히 주시면 될듯합니다.

그럼 이만.

 

관련 참조자료

http://blog.naver.com/linesaver/100031420572

http://blog.naver.com/linesaver/100031420693

http://www.wansecurity.com/share/078_ADCL_LNX_32_NLV/db2/linux/java/docs/jre/runtimeguide.lnxia32.ko.htm

 

출처 : 모바일공작소 (cafe.naver.com/mcreator)


 

# find 검색할폴더명 -name "*.jpg" > file_list.txt

하면 file_list.txt에 쫙~ 리스트업 됨

 

그러고 나서

wc -l file_list.txt

하면
jpg 파일만 검색해서 리스트 만든 것의 개수를 wc 명령어로 확인 할수 있음~ ^^


JFrame f = new JFrame("Title");
f.setDefaultCloseOperation(WindowConstants.DO_NOTHING_ON_CLOSE);

인자는 3가지가 존재..

1. DISPOSE_ON_CLOSE : 프레임과 컴포넌트를 종료(하지만 완전한 종료는 아님. 종료시에는 이벤트를 사용)

2. DO_NOTHING_ON_CLOSE : 프레임과 창닫기 작업을 무효화

3. HIDE_ON_CLOSE : false를 인수로 setVisible()메소드를 호출하여 윈도우를 숨김. setDefaultCloseOperation()메소드를 호출하지 않으면 이것이 기본 작업이 됨.

윈도가 숨겨진 후, true를 이누로 setVisible()을 호출하면 언제라도 다시 표시할 수 있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