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IP에 도메인을 두개 이상 받았을 경우를 이야기 한다.
Apache conf에서 httpd.conf 수정한다.
=============== 이하 수정부분 ===============
#현재 서버의 IP 지정
ServerName 203.000.000.000:80

#=== 톰캣연동과 관련한 JkWorker 설정 공통부분 : 각자 맞춰서 알아서 작성===
#workers 위치 지정
JkWorkersFile /usr/local/apache2/conf/workers.properties

#jk 로그 파일 위치 지정
JkLogFile /usr/local/apache2/logs/mod_jk.log
JkShmFile /usr/local/apache2/logs/mod_jk.shm

#로그 레벨 지정
JkLogLevel debug

#로그 시간 포맷 지정
JkLogStampFormat "[%a %b %d %H:%M:%S %Y] "

#로그 내용 포맷 지정
JkRequestLogFormat "%w %V %T"
#=================================================
# 가상 호스트 지정할 IP 지정
NameVirtualHost 203.000.000.000:80
# 첫번째 가상 호스트
<VirtualHost 203.000.000.000:80>
 ServerAdmin xxxxx@xxxx.co.kr
 DocumentRoot /var/www/html/xxxx/
 ServerName xxxx.co.kr
 CustomLog logs/xxxx.co.kr-access_log common
 JkMount /*.jsp worker1
</VirtualHost>
# 두번째 가상 호스트
<VirtualHost 203.000.000.000:80>
 ServerAdmin oooo
@oooo.co.kr
 DocumentRoot /var/www/html/oooo/
 ServerName oooo.co.kr
 CustomLog logs/oooo.co.kr-access_log common
 JkMount /*.jsp worker1
</VirtualHost>

Tomcat의 경우 Apache에서 가상호스트를 설정하였다면,
Tomcat 폴더의 Conf 디렉토리에 위치한 server.xml을 수정한다.
아래와 같이 두개의 URL 별로 HOST를 설정한다.
<Host name="xxxx.co.kr"  appBase="/var/www/html/xxxx/"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Context path="/" docBase="" reloadable="true" />

<Host name="oooo.co.kr"  appBase="/var/www/html/oooo"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Context path="/" docBase="" reloadable="true" />

만약 OZ를 특정위치에서 서비스 한다면
OZ의 폴더를 해당 URL 아래로 이동시킨 후
oz/conf/db.properties에서 URL을 변경해준다.
또한 oz/WEB-INF/classess에 있는 ozserver.properties의
oz server의 home 위치를 해당 URL로 변경시켜준다.


1. /oz/WEB-INF/classes/ozserver.properties 변경
   path.oz.server.home="변경된 위치" 로 수정

2. Tomcat 재시작

왜…

왜…

왜…

 

나만…

 

왜…

body 태그에 onLoad 기능을 이용한다.

 

<body  onLoad='login_value();'>

 

onLoad 기능을 통해 호출될

JavaScript 로 Function을 만든다.

 

예)

function login_value(){
    document.login.location='c_login_inner.jsp?flag='+'<%=flag%>';


}

 

아래와 같이 iframe 부분을 수정한다.

<iframe name="login" width="100%" marginwidth="0"  height="500" marginheight="0" frameborder="0"></iframe>

 

결론적으로 iframe의 src 부분이 없어지고 name을 통해 JavaScript function에서 해당 부분의 location으로 넘어갈 주소를 수정하게 되는 것이다.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신세를 졌다고 하셨습니다. 저희들이 당신에게 진 신세가 너무도 큽니다.
나로 말미암아 여러 사람이 받은 고통이 너무 크다고 하셨습니다. 저희가 그 분에게 받은 사랑이 너무나 큽니다.
앞으로 받을 고통도 헤아릴 수가 없다고 하셨습니다. 저희가 그 분으로 인해 받은 행복을 헤아릴 수가 없습니다.
여생도 남에게 짐이 될 일밖에 없다고 하셨습니다. 그 짐 우리가 오늘부터 나눠지겠다고 다짐합니다.
너무 슬퍼하지 마라고 하셨습니다. 죄송하지만 오늘은 저희가 슬퍼해야겠습니다. 그래서 우리 가슴 속, 심장 속에 한조각 퍼즐처럼 영원히 간직하겠습니다.
미안해 하지 마라고 하셨습니다. 저희들이야 말로 지켜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누구도 원망하지 마라고 하셨습니다. 운명이라고 하셨습니다. 운명이라고 생각하지 않겠습니다. 님의 뜻을 저희들이 운명처럼 받아들고 가겠습니다.
화장하라고 하셨습니다. 님을 뜨거운 불구덩이에서 태우는 것이 아니라, 저희들의 마음 속의 뜨거운 열정으로 우리 가슴 속의 열정으로 남기겠습니다.
그리고 집 가까운 곳에 아주 작은 비석 하나만 남기라고 하셨습니다. 저희들 가슴 속에도 조그만 비석 하나씩 세우겠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노제 중.. 사회를 맡았던 김제동의 이야기 중에서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