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내 마음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은 보는대로 존재한다. - 이시형 (0) | 2009.03.10 |
---|---|
생산적인 휴식을 취하는 방법 (0) | 2009.03.10 |
동서양 식사 예절 포인트! (0) | 2009.03.10 |
말 잘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스킬 (0) | 2009.03.10 |
인생의 치수는 사람마다 다르다 - 여훈 (0) | 2009.03.10 |
![]() ![]() |
|
|
세상은 보는대로 존재한다. - 이시형 (0) | 2009.03.10 |
---|---|
생산적인 휴식을 취하는 방법 (0) | 2009.03.10 |
동서양 식사 예절 포인트! (0) | 2009.03.10 |
말 잘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스킬 (0) | 2009.03.10 |
인생의 치수는 사람마다 다르다 - 여훈 (0) | 2009.03.10 |
![]() ![]() | |
![]() | |
나이프, 포크, 숟가락은 양쪽 바깥 부분부터 요리가 나올 때마다 하나씩 사용한다. 사용한 것은 접시 위에 올려두며 테이블 위에 올려놓지 않도록 한다. 빵은 큰 덩어리째 버터를 바르지 않는다. 빵을 한입 크기로 떼서 자신의 접시에 덜어놓은 버터를 발라 먹는다. 물잔은 오른쪽에 있는 잔, 와인 잔은 왼쪽 것이 본인의 잔이다.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옆 사람 잔을 사용하는 것인 만큼 주의할 것. ▶ 빵과 샐러드 접시는 왼쪽 편에 있는 것을 먹는다. ▶ 음료나 술은 남기지 않는 것이 예의다. 원하지 않으면 처음부터 마시지 않겠다고 말한다. ▶ 손으로 먹을 수 있는 음식은 빵과 로스트 치킨, 통째 구운 옥수수 정도다. ▶ 납작하고 작은 볼이 나왔다면 당황하지 말자. 손으로 먹는 음식이 나온다는 의미다. ▶ 손을 씻는 핑거볼에는 양손을 한꺼번에 넣지 말고 한 손씩 번갈아 씻는다. ▶ 식사를 마친 다음 냅킨 둘 곳을 찾지 못해 당황하는 경우가 있는데 너무 반듯하게 접지 말고 적당히 접어 테이블 위에 올려놓는다. | |
![]() ▶ 웃어른이나 초대한 사람이 오기 전에 미리 자리에 앉는다. 이때 문가 반대편이 상석이다. ▶ 식사할 때 밥을 다 먹지 않고 남기는 건 더 먹고 싶다는 뜻이다. ▶ 밥을 먹을 때는 왼손으로 밥공기를 들고 젓가락으로 떠먹으며 국그릇도 왼손으로 들고 젓가락으로 내용물을 밀어내며 마신다. 일식에서는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으며 국은 다 마신 다음에 뚜껑을 덮는다. ▶ 일식 꼬치는 통째로 들고 먹지 않는다. 잘 빠지지 않을 때는 돌려 비틀어 뺀 뒤 젓가락으로 집어 먹는다. ▶ 접시 위나 그릇에 젓가락을 올려놓지 않는다. 젓가락 받침이 없다면 젓가락을 싼 종이나 쟁반 끝에 놓는다. ▶ 생선회나 튀김 등 반찬을 먹을 때는 작은 접시를받쳐 입가까지 가져가 먹는다. ▶ 초밥은 반드시 젓가락으로 먹을 필요는 없다. 물수건에 손가락을 닦아가며 먹어도 된다. ▶ 식사가 끝나면 젓가락을 처음 들어 있던 싸개에 다시 집어넣는다. ▶ 일식에서는 상대가 술잔을 다 비우기 전에 술을 따르는 것이 예의다. | |
![]() | |
▶ 회전 테이블은 시계 방향으로 돌리되 상석부터 돌리는 것이 예법이다. ▶ 테이블에 있는 간장, 식초, 겨자 등의 양념은 자신의 앞접시에 조금씩 덜어 먹는다. ▶ 생선 요리가 나왔을 경우, 메인 접시에 있는 생선은 뒤집지 않는 것이 예의이며 뼈나 가시 등은 보이지 않게 입에서 빼내 자신의 그릇에 놓는다. ▶ 음식이 바뀔 때마다 새 접시로 바뀌므로 먹을 만큼만 덜어 먹고 음식이 앞접시에 남지 않게 한다. ▶ 식사 중일 때는 젓가락을 접시 끝에 받쳐놓고 식사를 끝마쳤을 때는 젓가락 받침대 위에 올려둔다. ▶ 차를 마실 때는 받침까지 들고 마신다. 뚜껑을 반쯤 덮어두면 계속 마시겠다는 의미다. |
음.. 매너를 지키는 것도 좋지만..
근데 너무 격식을 차리는 것도 피곤하지 않을까?
뭐든지 마음 편하게 먹는게 몸에 좋은 거다.. ㅋ
생산적인 휴식을 취하는 방법 (0) | 2009.03.10 |
---|---|
가난한 유전자 바꾸는 9가지 방법 (0) | 2009.03.10 |
말 잘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스킬 (0) | 2009.03.10 |
인생의 치수는 사람마다 다르다 - 여훈 (0) | 2009.03.10 |
좋은 인맥을 만드는 7가지 “ㅍ" (0) | 2009.03.10 |
![]() ![]() | |||
![]() | |||
![]()
자신만의 정보수집 경로를 만들어두고, 꾸준히 새로운 정보를 업데이트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매일 주요 신문을 보는 것은 기본이고, 전문분야 잡지는 꼭 구독해서 가치있는 정보를 확보해야 하며, 필요한 뉴스레터는 꼬박꼬박 챙겨서 받기도 해야한다. 특히 차를 타고 이동할 때 라디오의 시사프로그램이나 교양프로그램을 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우선 앞에서 제시한 여섯가지 요소를 갖춘다면 여유를 가지고 말을 해야 한다. |
가난한 유전자 바꾸는 9가지 방법 (0) | 2009.03.10 |
---|---|
동서양 식사 예절 포인트! (0) | 2009.03.10 |
인생의 치수는 사람마다 다르다 - 여훈 (0) | 2009.03.10 |
좋은 인맥을 만드는 7가지 “ㅍ" (0) | 2009.03.10 |
당신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7가지 언어습관 (0) | 2009.03.10 |
동서양 식사 예절 포인트! (0) | 2009.03.10 |
---|---|
말 잘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스킬 (0) | 2009.03.10 |
좋은 인맥을 만드는 7가지 “ㅍ" (0) | 2009.03.10 |
당신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7가지 언어습관 (0) | 2009.03.10 |
덕보려고 하는 마음 때문입니다 - 성철스님 (0) | 2009.03.10 |
“젊었을 때는 돈을 빌려서라도 좋은 인맥을 만들어야 한다.물은 어떤 그릇에 담기느냐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지만 사람은 어떤 친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운명이 바뀐다“
위의 글은 일본 아사회 맥주 前회장, 히구치 히로타로가 한 말이다.맥주회사 대표답게 물과 그릇으로 인맥의 소중함을 비유한 것이 흥미롭다.이에 덧붙여 좋은 인맥을 만드는데 필요한 7가지 “ㅍ"에 대해 알아본다.
첫째,품.
인맥만들기는 누가 더 많이,더 오래 품을 파느냐에 달려있다.머리품,발품,손품을 아끼지 않고 열심히 실천하는 사람만이 좋은 인맥을 만들 수 있다
둘째,폼.
짧은 만남이 빈번한 현대사회에서 장기적인 관계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좋은 이미지,좋은 첫인상을 줄 수 있도록 자신을 가꿔야 한다. 폼은 결국 어울림이다.때와 장소,상황에 맞게 의상, 표정,자세를 가꿔야 한다.
셋째,판.
내가 현재 속해있는 판(사회,네트워크)과 앞으로 가고자 하는 판에 대해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패.
다른 사람에게 보여 줄 수 있는 나의 브랜드,나의 가치가 있어야 한다.
다섯째,펀(fun).
만남이 즐겁고 유익해야 한다.피터 드러커는 <생산성이야말로 올바른 인간관계를 나타내주는 가장 적합한 단어>라고 말하였다.일적으로, 정신적으로 즐겁고 생산적인 만남이 돼야 한다.
여섯째,필(feel).
서로에 대해 공감하지 못하면 인간관계가 가까워지지 않는다 .말이 통하고, 느낌이 통하고, 생각이 통하고, 마음이 통해야 한다.
일곱째,편.
내 편을 만들지 말고, 먼저 상대방의 편이 되어야 한다.네 편이 돼 주지 않으면 결코 내 편이 되지 않는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이상으로 인맥을 만드는 7가지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결국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품”이다.좋은 인맥을 만들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머리품,손품,발품을 팔아야 한다.
일본 교세라 그룹의 이나모리 가즈오 회장은 젊은 시절 마츠시타 고노스케의 댐경영 강연회에 참석하였다. 청중으로부터 질문을 받은 고노스케가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간절히 생각하고 원해야 한다”고 답변하는 것을 듣고 온몸에 전기가 흐르는 듯한 커다란 충격과 감명을 받았다.그 후부터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항상 간절히 생각하고 염원한 결과 교세라를 세계적인 대기업으로 만들 수 있었다고 자서전에서 밝히고 있다.
좋은 인맥을 갖고 싶은가? 지금 당장 계획하라! 지금 전화기를 들라! 지금 만나러 나서라! 반드시 좋은 인맥이 얻어질 것이다.인맥을 만드는 것은 행운이 아니라 노력이다!
말 잘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스킬 (0) | 2009.03.10 |
---|---|
인생의 치수는 사람마다 다르다 - 여훈 (0) | 2009.03.10 |
당신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7가지 언어습관 (0) | 2009.03.10 |
덕보려고 하는 마음 때문입니다 - 성철스님 (0) | 2009.03.10 |
세상은 But의 반전에 주목한다 (0) | 2009.03.10 |